RSM은 각각의 설명들이 논리적인 연결고리들로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어 대단히 높은 집중력을 요구합니다. 또한 깊은 사색을 요구하는 부분까지 있어 읽어내기를 더욱 힘들게 합니다.
RSM은 아무나 할 수 없습니다. 개념에 대한 이해를 즐길 수 있어야 합니다. 깊은 사색과 깨달음 얻기를 좋아해야 합니다. 어렵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만한 끈기와 꼼꼼함을 가져야 합니다. 5장까지 읽어낸 여러분은 아마도 이러한 것들을 좋아하고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
1장에서 5까지 읽어낸 독자들에게 박수를 보냅니다. 5장까지 읽으면서 여러분은 RSM에 익숙해졌을거고 6장부터는 좀 더 쉽게 읽어내실 수 있을 것입니다. 포기하지 말고 계속 읽어내시길 부탁드립니다.
6장은 2장과 3장에 더해 실체에 대한 완성된 개념을 갖는 것을 목표로 하는 장입니다.
6장에서는 RSM의 가장 중요한 핵심개념들 중 하나 인 전체와 부분에 대한 기본적인 것들을 설명합니다. 전체와 부분은 컬레보레이션과 행위에서 좀 더 확장되어 설명됩니다.
[참고도서]
[링크]
[기타]
비즈니스모델과 도메인모델의 차이?
도메인은 다루어야 할 문제영역이고, 비즈니스는 도메인이 포함된 전체 업무영역입니다.
예를 들어, 인력개발시스템을 개발한다면 해당 기업의 전체 업무는 비즈니스에 해당하고, 인력개발부의 업무는 도메인에 해당합니다. 물론 인력개발부의 업무 중에서도 일부를 한다면 그 일부가 도메인이 됩니다.
왜 object일까?
객체지향에서 object라는 용어를 사용해서 존재를 표현한 것은 인식론의 영향을 받은 것입니다. 인간을 인식의 주체(subject)로, 존재하는 다른 것들을 인식의 대상(object)으로 본 것입니다. ‘~의 대상’이라는 의미를 가진 단어로 object를 선택한 것입니다.
UML의 객체와 값과 링크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UML의 객체와 값과 링크는 도메인의 정보(구조화된 사실)를 그래픽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정보는 텍스트로 표현될 수도 있습니다. 구조화된 정보는 표로 표현되기도 합니다. 링크가 사용된다는 것은 정보가 구조화 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링크도 실체라고 했는데, 그렇다면 링크도 행위를 가져야 하는 것이 아닌가?
링크의 존재목적은 연결입니다. 연결은 링크 자체의 암시적인 행위로 명시적으로 드러나지 않습니다.
이름과 이름공간(namespace)
이름이 적당한 길이를 가지면서도 중복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그 이름이 고유함을 보장하는 이름공간을 사용합니다. 이름공간은 여러 계층에 걸쳐 작성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