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티지와 글 읽기 –  일상의 문제를 발견하려 하지말고, 일상 자체를 문제로 보라 (조용민 대표)

 

이 영상 스크립트를 가져와 블로그 글로 작성했습니다. 

 

AI 시대, 주니어 개발자는 끝났다? 숨겨진 기회와 성공 전략 대공개! (조용민 대표 인사이트)

최근 게임 업계 채용 시장에 흥미로운 변화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한 게임 업체 대표는 주니어 개발자 모집에 작년보다 10배나 많은 지원자가 몰렸다는 소식을 전했는데요. 언뜻 보면 좋은 소식 같지만, 이면에는 AI 기술 발전으로 인한 개발자 역할 변화라는 심오한 메시지가 숨겨져 있습니다.

T타임즈 AI 에이전트 시리즈에 출연한 조용민 언바운드랩 대표는 “주니어 개발자 역량이 더 이상 필요 없어지는 시대가 오고 있다”라며, “구글은 이미 개발의 25%를 AI가 담당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렇다면 주니어 개발자는 이제 설 자리가 없는 걸까요? 오히려 조 대표는 AI 시대에 더욱 중요한 역량이 있다고 강조합니다.

 

AI 시대, 문제 ‘발견’이 아닌 문제 ‘정의’가 핵심!

조 대표는 AI 시대에 필요한 역량은 “일상에서 문제를 발견하는 능력”이 아닌, “일상을 문제로 생각하여 더 좋게 만들 수 있는 역량”이라고 역설합니다. 즉,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은 AI에게 맡기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문제 정의 능력이 더욱 중요해진다는 것입니다.

 

AI 투자 전문가, 조용민 대표가 바라본 AI 시장의 변화

조 대표는 삼성전자, 구글, IBM 등에서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 AI 관련 투자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는 AI를 “비즈니스 임팩트를 만들 수 있는 핵심 기술”이자 “인터넷보다 더 강력한 코모더티 기술”로 정의하며, 일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팀에 투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AI 시장은 알파고를 통해 AI 컴퓨팅 시대가 열리고, 라지 랭귀지 모델(LLM)이 등장하며 급격하게 변화했습니다. 현재는 어플리케이션 모델링, 즉 실질적인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춘 기술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조 대표는 AI 기술 스택을 인프라 (파운데이션)와 활용 (인퍼런스)으로 구분하며, 한국은 LLM 개발 경쟁보다는 인퍼런스에 집중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그는 “고민을 잘 정의하는 조직“이 AI 시대에 성공할 것이라고 강조합니다.

 

AI 기술, 인간을 넘어서는 편리함을 제공해야 성공한다!

AI 기술 발전 속도는 인간 적용 속도보다 빠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조 대표는 UI/UX 개선을 통해 이 갭을 줄여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는 챗GPT와 같은 AI 도구가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이유로 복잡한 UI/UX를 지적하며, 사용자가 AI 기술을 인지하지 못할 정도로 자연스럽고 편리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유튜브의 “톡톡” 앞으로/뒤로 감기 기능처럼, 사용자가 무의식적으로 편리함을 느끼는 기술이야말로 AI 성공의 핵심이라는 것이죠.

 

AI 에이전트, 개인 비서가 될 수 있을까?

조 대표는 AI 에이전트의 발전 방향에 대해서도 흥미로운 전망을 내놓았습니다. 그는 단기적으로는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앱에서 제공하는 센트럴라이제이션 (Centralization)이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각 분야에 특화된 AI 에이전트들이 등장하고, 이들이 서로 협력하는 분산형 시스템으로 발전할 가능성도 열어두었습니다.

 

아마존 고의 실패에서 배우는 유저 베네핏의 중요성

조 대표는 AI 기술 기업의 성공 요인으로 “일상에서 문제를 발견하는 능력”이 아닌, “일상 자체를 문제로 보고 개선하려는 능력”을 제시합니다. 그는 아마존 고 실패 사례를 통해 오프라인 스토어에서 고객은 결제 편리성보다 다양한 상품 경험과 큐레이션을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AI 시대,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조용민 대표는 AI 시대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을 기억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 문제 해결 능력: AI에게 단순 반복 업무를 맡기고, 문제 해결에 집중하세요.
  • 사용자 중심적 사고: 사용자에게 실질적인 이점을 제공하는 기술을 개발하세요.
  • UI/UX 개선: 사용자가 무의식적으로 편리함을 느끼는 기술을 만드세요.
  • 데이터 분석 능력: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트렌드를 분석하고, 민첩하게 대응하세요.

 

AI는 더 이상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지금부터 AI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사용자 중심적인 사고방식을 갖춘다면, AI 시대에서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About the Author
(주)뉴테크프라임 대표 김현남입니다. 저에 대해 좀 더 알기를 원하시는 분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 http://www.umlcert.com/kimhn/

Leave a Reply

*